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한국인 전용 취업비자 법안 지지 의원 늘어났다

지난 4월 연방의회에 재발의된 한국인 전용 전문직 취업비자 법안에 대한 상하원 의원들의 지지가 늘어나고 있다.   존 오소프 연방 상원의원은 7일 성명을 통해 ‘한국과의 파트너 법안’(Partner with Korea Act)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분주히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법안이 미국과 한국 상호 간 경제협력을 공고히 할 것이라며 “한미 우호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초당적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오소프 의원은 상원에서 친한파 의원 모임인 코리아 코커스 공동의장을 맡고 있다. 그의 지역구인 조지아주는 현대자동차 전기차 전용공장을 비롯해 한화와 SK 배터리 공장 등 한국 기업의 투자가 잇따르고 있다.   이 법안은 전문 교육·기술을 보유한 한국 국적자에 미국 정부가 연간 최대 1만5000개의 전문직 취업비자를 발급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현재 미국의 취업비자인 H-1B 비자는 연 8만5000여개로 제한돼 전 세계 전문직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그러나 이 법이 통과되면, 한국은 H-1B 비자 한도와 무관하게 연간 최대 1만5000개의 전문직 비자 쿼터를 확보하게 된다.   이 법은 지난 4월 하원 외교위원회의 영 김 인도·태평양 소위원장, ‘코리아 코커스’의 공동의장인 제럴드 코널리 하원의원, 마지 히로노 상원의원, 마크웨인 멀린 상원의원이 공동 발의했다.   현재 이 법안 공동발의자는 상원의원 3명, 하원의원 19명으로 늘어났다.   김은별 기자취업비자 한국인 취업비자 법안 한국인 전용 전문직 취업비자

2023-09-08

한국인 전용 전문직 취업비자 법안 재발의

한국 출신 전문직종 종사자를 위한 전용 ‘전문직 취업비자(E-4)’를 1만5000개를 신설하는 법안이 의회에 재상정된다.       의회에 발의된 ‘한국과 파트너 법안’(Partner with Korea Act)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전문 교육과 기술을 보유한 한국 국적자에 연간 최대 1만5000개의 전문직 E-4 비자를 발급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미국은 H1B 비자를 통해 전 세계의 신청자를 대상으로 전문직 취업비자를 발급하지만, 비자 한도가 연 8만여개로 제한돼 경쟁이 치열하다. 미국은 이와 별개로 캐나다(무제한), 멕시코(무제한), 싱가포르(연 5400개), 칠레(1400개), 호주(1만500개) 등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5개국에 대해 국가별 연간 쿼터를 주고 있다.   이 법안이 의회 상하원을 통과하고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까지 해서 입법이 완료되면 한국도 H1B 비자와 별도로 연 최대 1만5000개의 전문직 비자 쿼터를 확보하게 된다.   2013년부터 연방 의회 회기 때마다 이 법안이 발의됐고 지난해 2월에는 하원을 통과했지만 이후 회기가 바뀌면서 무산됐다.   이번에는 영 김 하원 외교위원회 인도·태평양 소위원장, 지한파 의원 모임인 ‘코리아 코커스’의 공동의장인 제럴드 코널리 하원 의원, 마지 히로노 상원의원, 마크웨인 멀린 상원의원이 지난 25∼26일 하원과 상원에서 공동 발의해 힘을 더했다. 최인성 기자 ichoi@koreadaily.com취업비자 한국인 전문직 취업비자 취업비자 법안 한국인 전용

2023-04-27

한국인 전용 전문직 취업비자 법안 재발의

한국 전문직이 미국에서 일자리를 구하기 쉽도록 한국인 전용 전문직 취업비자를 만드는 법안이 연방의회에서 재발의됐다.   '한국과 파트너 법안'(Partner with Korea Act)은 미국 정부가 전문 교육과 기술을 보유한 한국 국적자에 연간 최대 1만5000개의 전문직 취업비자(E-4)를 발급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H-1B 비자를 통해 전 세계의 신청자를 대상으로 전문직 취업비자를 발급하지만, 비자 한도가 연 8만5000개로 제한돼 경쟁이 치열하다.   미국은 이와 별개로 캐나다(무제한), 멕시코(무제한), 싱가포르(연 5400명), 칠레(1400명), 호주(1만500명) 등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5개국에 대해 국가별 연간 쿼터(할당량)를 주고 있다.   이 법안이 의회 상하원을 통과하고 조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까지 해서 입법이 완료되면 한국도 H-1B 비자와 무관하게 연간 최대 1만5000개의 전문직 비자 쿼터를 확보하게 된다.   2013년부터 의회 회기 때마다 이 법안이 발의됐고 작년 2월에는 하원을 통과했지만 이후 회기가 바뀌면서 무산됐다.   이번에는 영 김 하원 외교위원회 인도·태평양 소위원장, 지한파 의원 모임인 '코리아 코커스'의 공동의장인 제럴드 코널리 하원의원, 마지 히로노 상원의원, 마크웨인 멀린 상원의원이 지난 25∼26일 하원과 상원에서 공동 발의했다.   김 의원은 27일 "한국은 우리의 중요한 동맹 중 하나이며 특히 인도·태평양에서 위협이 커지는 상황에서 미국의 계속된 경제 성공과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매우 숙련되고 다양한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법안 발의 이유에 대해 밝혔다.   히로노 의원은 "한국과의 협력관계는 우리 양국과 경제에 매우 중요하다"며 "비이민 전문직 비자 확대는 양국 간 교역을 더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되고 미국 내 고숙련 노동자 숫자를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심종민 기자미국 취업비자 전문직 취업비자 취업비자 법안 한국인 전용

2023-04-27

1만5천개 한국인 전용 취업비자 통과되면…….

한국인 전용 취업비자(E-4) 법안〈본보 2월9일자 상세보도〉이 연방하원의 관문을 넘어, 연간 1만5천개 한국인 전용 비자의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실제로 성사된다면 한인 커뮤니티에 긍정과 부정적인 영향을 동시에 미칠 수 있게 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국경쟁법안(H.R.4521)’에는 고학력 한국 국적자에 대해 연간 1만5천개 취업비자를 발급하는 ‘한국 동반자법(Partner with Korea Act)’ 수정안이 포함됐다.       한국은 지난 2012년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면서 일자리 개방 취지로 E-4 비자 신설을 추진해 왔지만 성과를 얻지 못했다. 반면, 미국과 FTA를 체결한 호주(1만500명)·싱가포르(5400명)·칠레(1400명)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체결국인 캐나다(무제한)·멕시코(무제한)는 국가별 취업비자 쿼터가 배정돼 있다. 이 법안이 만약 상원에서도 통과되고 대통령 서명을 거쳐 시행된다면 이민 감소로 인해 침체를 겪고 있는 한인 커뮤니티에는 상당한 활력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신규 이민자는 해당 이민자 커뮤니티 경제의 촉진제 역할을 담당한다.   1960년대 이후 한인이민 경제가 발전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신규 이민자가 계속 유입돼 경제 규모를 키웠기 때문이다.   한국인 유학생이나 한국에서 미국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에게는 큰 혜택이 될 것이 분명하다. H-1B 비자가 연간 8만5000개로 한정돼 있는데, 이러한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취업비자 소지자와 기존의 한인 간 일자리 경쟁이 격화될 수밖에 없다.   특히 신규 취업비자 이민자들이 IT 등 첨단 사업 분야에 진출할 수밖에 없는데, 워싱턴지역 한인 1.5세와 2세가 개척해 놓은 연방정부 하청용역업계에서 한인들과 정면으로 충돌하게 된다.   취업비자 소지자의 임금이 기존 시민권자나 영주권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고용주 입장에서는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기존 한인 근로자 입장에서는 임금경쟁력을 통째로 상실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사실 때문에 일부 한인들은 한국정부가 주미대사관이 앞세우고 이른바 친한파 의원을 동원해 취업비자 법안을 추진한다는 사실을 못마땅하게 여기기도 한다.   물론 이 법안이 통과되지 못할 가능성도 크다.   ‘미국경쟁법안’은 지난해 연방상원이 처리한 ‘미국혁신경쟁법안’과 합쳐서 수정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후 상하원 표결을 거쳐 조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하면 확정되는데, 연방상원에서 60표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공화당도 대체적으로 동의하는 분위기이긴 하지만, 미국 우선주의가 작동하기 때문에, 합의 과정에서 미국인 일자리를 뺏길 수 있는 한국인 취업비자 법안을 폐기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옥채 기자 kimokchae04@gmail.com취업비자 한국인 한국인 전용 취업비자 법안 신규 취업비자

2022-02-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